ADHD
컴퓨터로 ADHD 프로그램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지속적,선택적 주의집중 그리고 충동억제를 평가 합니다.
7세~13세 아이들이 ADHD에 걸릴 확률이 높다.
2011년 기준으로 ADHD 진료인원(20세이하) 7세부터 13세까지가 68.2% 10살이 11.2%, 9살이 10.6% 입니다. (참고:건강보험심사평가원)
-
주의력 결핍의 주요 증상
- 놀이나 공부등에 또래 보다 집중하지 못함
- 간단하고 단순한 일에 대해서도 끝을 못내고 정신적 일을 싫어함
- 연필등의 본인의 물건을 자주 잃어버리고 외부 자극에 쉽게 생각이 흐트러짐
-
과잉행동에 관하여
- 공공장소(식당,대중교통등) 지속적으로 뛰거나 오르락 거리는 증상
- 교실등 수업시간에 앉아있지를 못하고 손발장난 몸을 비틀면서 산만한 행동
- 과한 행동이나 언행(타인을 방해하거나 참견하려함)
정밀주의집중력 검사 방법
검사 프로그램
- CNT, Auditory CPT (언어지속 검사)
- CNT, Visual CPT (시각지속 검사)
- CNT, Visual Contsolled CPT (조건시각지속검사)
- CNT, Verbal Learning Test (언어기억검사)
- CNT, Visual Learning Test (시각기억검사)
- CNT, Hypothesis Formation Test (개념형성검사)
- CNT, CPM (지능검사)
- CNT, SPM (지능검사)
- H,T,P 검사
ADHD 지수
ADHD 지수는 주의집중력검사만의 과학적인 ADHD 검사 지표로써 검사변수들을 통합하여 평가할 수 있는 기준입니다.
ADHD 지수는 피검자가 ADHD에 얼마나 가까운 정도인가를 평가하는 지표로써 평균적으로 100의 값을 가집니다.
그 크기가 클수록 피검자가 ADHD일 가능성이 높습니다.
주의, 집중력 검사 주의사항
- 보통 종합심리검사와 함께 진행됩니다.
- 진행전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을 기준으로 진행하셔야 합니다.
- 피검자 수행한 검사결과는 동일 연령의 규준집단으로부터 산출된 규준에 입각하여 평가치료로 변환되며 이를 근거로 ADHD의 여부를 판정합니다.